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 버스 부산진6-1

덤프버전 :

||



파일:KakaoTalk_20231120_21374929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특징
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부산진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부산진6-1 노선도.png
기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동의대학교본관)종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동의대역)
종점
첫차07:00기점
첫차07:00
막차23:00막차23:05
평일배차5분주말배차15분
운수사명대도공영인가대수5대
노선동의대본관 → 자연대교차로 → 동의대학교입구 → 터널육교동의대역[1] → 반도보라아파트 → 동의대학교입구 → 자연대교차로 → 동의대학교본관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마을버스 노선.


3. 특징[편집]


6번과는 형제격 노선으로 동의대학교 순환버스로 자체도색을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 수용을 위해 마을버스치고는 이례적으로 전차량 대형차량로 운행한다.[2] 예전부터 구.201번 좌석형 차량을 입석으로 개조해서 운행하다가 이 차량들의 내구연한이 다가오자 110-1번, 148-1번의 신도색 차량들을 마을버스 면허로 전환한 뒤 기존 차량을 대차해 운행중이다.[3]

동의대학교 순환버스 세 개 노선들중에서 가장 배차가 짧고,댓수가 많은것도 있지만 단순히 대학 캠퍼스와 도시철도역을 잇는 단거리 노선이기에 동의대역으로 수정터널 위를 거쳐 교내까지 다이렉트로 진출입하기 때문에 부산진6번과 9번보다 수요가 훨씬 많다. 동의대학교에서 동의대역까지는 6번이랑 똑같이 가지만 다시 돌아갈 때는 대학로를 거쳐 조금 둘러가는 6번과는 달리 바로 다이렉트로 동의대로 이어주는 덕분에 학생 통학 수요는 거의 이쪽으로 몰린다.무엇보다 접근성도 세 노선들중 가장좋다. 덕분에 버스로 통학하는 학생들도 등교기준 비교적 버스 환승이 더 용이한 5번 출구에서 해당노선을 이용한다.[4] 이 점 때문인지 동의대학교 셔틀(순환)버스하면 대표적으로 떠올리는 노선이다.

또한 이전에는 학교 > 서면을 버스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를 제외한 버스 이용 학생들은 비교적 환승이 더 용이한 가야1치안센터를 경유해주는 6,9번이 훨씬 나았었으나 2022년 12월 28일자로 사상~서면간 BRT 개통,양방향 '동의대역' 정류장이 생기게되어 해당노선도 양방향 버스 환승이 훨씬 수월해졌다.[5]따라서 기존 6,9번을 이용하던 버스통학러들의 수요가 분산되어 해당노선으로 몰려 수요가 더 늘어날것으로 보인다.

동의대학교 교내에서는 부산진6번과 공동배차 개념으로 운행된다.

주중 하루 평균 승객 수가 약 15,000여명이며, 부산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사상6번, 금정6번 다음 순위이므로 명실상부 대도공영의 간판/주력 노선이다.

계절학기 시즌에는 3대, 방학 시즌에는 1~2대 약15분간격으로 운행한다.

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부산진6-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대학교 캠퍼스 진입 버스 노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05:54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부산진6-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회차지. 잠시 대기후 출발한다.[2] 이는 부산대학교 순환버스인 금정7번 또한 마찬가지다.[3] 마을버스로 옮겨온 차량의 기존 시내버스 면허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이 투입되었다.[4] 단, 사하구 일대, 북구/사상구 일대 한정. 서면에서 오는 경우 5번 출구보다는 가야1치안센터에서 6번, 9번을 이용하는것이 훨씬 낫다. 하교시에는 서면일대로 넘어갈것이 아니라면 환승이 더 용이한 가야1치안센터, 개금삼거리 일대까지 이어주는 6번, 9번이 나았었으나,2022년 12월28일부로 사상~서면간 BRT 개통으로 양방향 '동의대역' 정류장이 생기면서 버스 환승이 훨씬 용이해졌다 .[5] 심지어 환승저항을 고려해볼때,6번/9번이 정차하는 '가야1치안센터' 정류장에서 BRT '부산진 우체국' 정류장까지의 거리가 훨씬 소요시간이 많이 걸린다.